티스토리 뷰
목차
내의사가 아닌 비자발적 사유로 퇴직하신 분이라면 실업급여를 알아보고 계실 텐데요. 실업급여 조건에 해당된다면 실업급여를 수급할 수 있습니다. 실업급여 조건 그리고 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실업급여 조건
✅고용보험 피보험 기간은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.
실제로 근무한 일수가 180일 이상이어야 하며 , 주말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 기간으로 계산하면 대략 7개월 정도가 됩니다
✅ 근로의 능력과 의지가 있음에도 취업하지 못한 상태여야 합니다.
✅ 재취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합니다.
✅ 이직 사유가 비자발적인 이유여야 합니다.
비자발적인 사유는 계약만료, 권고사직, 정년 도래 등이 포함됩니다.
실업급여 수급기간
실업급여 수급 기간은 연령과 임금을 받은 일수에 따라 달라집니다.
연령 및 가입기간 | 1년 미만 | 1년이상 3년미만 |
3년이상 5년미만 |
5년이상 10년 미만 |
10년 이상 |
50세 미만 | 120일 | 150일 | 180일 | 210일 | 240일 |
50세이상 및 장애인 | 120일 | 180일 | 210일 | 240일 | 270일 |
예를 들어, 50세 이상 근로자가 10년 이상 근무한 경우, 총 270일 동안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실업급여 금액은 퇴직 전 3개월간의 평균 임금의 60%를 지급하는데, 2024년 기준으로 하루 상한액은 66,000원, 하한액은 63,104원으로 정해져 있습니다.
위의 50세 이상 근로자가 상한액을 받는다고 가정하면, 총 1,782만 원을 받게 되고, 하한액을 받게 된다면 약 1,703만 원을 받게 됩니다.
계산식 : 270일 x 66,000원 = 1,782,0000원 (상한액) , 270일 x 63,104원 = 17,308,080원 (하한액 )
실업급여 계산기
나이, 근무기간, 퇴사 전 3개월 임금 등을 입력하면 내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및 수급기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상용직, 일용직, 자영업, 예술인, 노무제공자 5종류에 따라 모의 계산할 수 있습니다.
일반근로자(상용근로) 실업급여 계산기로 실업급여 계산해 보겠습니다.
*표시된 부분을 필수 입력 후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내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지급일수 및 총 예상지급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☑필수입력사항
1. 나이 - 주민등록번호 6자리
2. 장애인 여부 - 예, 아니오 중 선택
3. 1일 소정 근로시간
4. 3개월간 임금
실업급여 조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실업급여 계산기로 모의계산 해보시고 신청하셔서 구직활동 내에 꼭 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.